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파일삭제
- 부스트코스
- Swagger
- gitbash
- Spring
- swaggerUrl
- springsecurity
- CS50
- springmvc
- assume True
- assume That
- MVC
- Junit5
- Git
- 컴퓨터과학
- assume
- 스프링프레임워크
- MVC모듈
- container
- springboot
- securityconfig
- springframeworkruntime
- 원격저장소
- .idea
- c언어
- DispatcherServlet
- GitHub
- 팀과제
- assuming That
- .out
Archives
- Today
- Total
도담이 먹여 살려야하는 집사
Servlet 설정하기 본문
web.xml 파일 수정하기
<servlet>
<servlet-name>HelloServlet</servlet-name>
<servlet-class>HelloServlet</servlet-class>
</servlet>
<servlet-mapping>
<servlet-name>HelloServlet</servlet-name>
<url-pattern>/servlet1010</url-pattern>
</servlet-mapping>
위 코드를 <web-app> </web-app> 사이에 넣기
web-xml은 배포 서술자(DD, Deployment Descriptor) >> 웹 애플리케이션에는 하나의 DD만 존재 해야함.
DD안에 다수의 servlet을 설정 할 수 있음.
<servlet-name> tag : <servlet> tag 와 <servlet-mapping> tag연결
<servlet-class> tag : 자바클래스의 이름 (패키지 포함시 path.className)
<url-pattern>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낼 이름
tomcat연동 및 실행
톰캣연동은 성공하는데 가끔 404에러가 날때가 있음.
이럴경우
1. localhost:8080/url-pattern(/servlet1010)이 맞는지 확인.
2. tomcat 설정 -> deployment -> Application context : / (디폴트로 설정)
JAVA클래스에 간단한 내용 넣어주기
doget method
response : 응답할 내용들을 모두 모아서 추상화 해놓은 객체라고 생각
response.setContentType("text/html;charset=UTF-8");
PrintWriter out = response.getWriter();
out.println("<h1>Hello World</h1>");
Comments